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구상에서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는 4년 이내에 멸종한다

 

 

아인슈타인의 말이라고 알려진 이 유명한 말

스놉스(snopes.com) 진상 규명 결과 사실은

1994년 벨기에로 시위하러 간 프랑스 양봉업자들이

팸플렛에 만들어 넣은 글귀라고 합니다. 

어쨌든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꿀벌의 예언」에서 묘사하듯

꿀벌과 지구 생태계는 불가분의 운명 공동체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면

우리나라와 와국에서 각각 밝힌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 

꿀벌이 지닌 위대한 집단 문화에 대해 알게 됩니다.

 

1. 꿀벌 실종의 비밀

우리나라 겨울철 양봉통에서 벌들이 사라지는 일들이 2년 연속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을 벌의 떼죽음-CCD(군집붕괴현상)이라고 칭하는데

꿀을 채집하러 나간 일벌이 집으로 되돌아 오지 않아 여왕벌과 유충이 폐사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최근 10년 동안 꿀벌 개체 수의 40% 정도가 감소했다.

꿀벌은 왜 사라지는가?

이에 대한 답으로 우리나라는 22년 초 민관합동으로  전국 9개 도, 양봉농가 99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꿀벌응애류(벌에 기생하는 해충)의 영향

◑천적인 말벌류에 의한 폐사

◑이상 기후 요인

위 3가지 요인의 복합 작용을 원인으로  밝혔습니다. 

 

첫 번째 원인) 꿀벌 응애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벌 방의 뚜껑이 쭈글쭈글해지고 꿀벌의 애벌레는 부풀어 오르며 결국 죽게 되는데 대표적인 낭충붕아부패병은 치사율 90%로 아직까지 치료제도 없다 합니다.

두 번째 원인) 꿀벌 전문포식자로 알려진 등검은말벌은 2003년 중국 남부에서 부산항으로 들어온 외래종인데

가을철에 양봉장에 집중적으로 출몰하여 한 마리가 대여섯 마리 꿀벌을 사냥한다고 합니다. 

많게는 하루에 2천여 마리가 출몰해 꿀벌 2~3만 마리를 없앨 수 있는데

한 두달 가량 공격을 지속해 벌통 2~30개가 사라지는 극심한 피해를 입게 됩니다.

세 번째 원인) 2022년 발간한 한국양봉학회 학술지에서도 기후 변화 꿀벌의 월동 실종과 폐사의 주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꿀벌은 태어난 시기와 역할에 따라 여름벌과 겨울벌로 나뉘는데

월동기를 앞두고 태어난 '겨울벌'은 봉군 내에 여왕벌을 중심으로 뭉쳐서 날개짓으로 열을 내 겨울을 납니다.  

그런데 이상 고온으로 봄이 온 줄 알고 여왕벌이 산란을 시작하고

일벌들은 애벌레들을 키우기 위하여 애벌레의 먹이 생산과 육아활동을 시작하고

일부의 일벌들은 먹을거리를 찾아 벌통 밖으로 나갑니다.

그러나 겨울철에 꿀이 있을리 없고 게다가 해가 짧아 기온이 금새 떨어지기 때문에

밖에서 활동하던 꿀벌들은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얼어 죽게 됩니다.

게다가 원래 육아를 하지 않던 겨울벌이 육아를 하게 되면

체내 호르몬 구성과 생리가 달라져 수명도 짧아진다고 합니다.

 

위에서 농약 문제는 원인으로 나오지 않았지만 

2022년 4월 16일 <그것이 알고 싶다> 방송본에서는

농약 원액을 드론으로 직접 살포한 지역과 꿀벌이 집단 폐사한 지역간의

유의미한 일치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농작물에 사용했던 살충제 성분을 집단 폐사 양봉통에서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농약은 꿀벌과 유충을 직접 죽이지 않더라도 신경 이상, 기능 이상을 초래해 

일벌이 제대로 돌아오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외국의 경우

노아 윌슨 리치(Noah Wilson Rich) 박사가 미국 하버드대학·MIT·NASA 등과 협업하여

10여 년에 걸쳐 꿀벌 실종의 원인을 연구했습니다.

연구진은 꿀벌 멸종 원인으로 ◑농약전염병 ◑생물(식물) 다양성 훼손이라는 3가지 가설을 세우고 

미국 전역 18개 주 도시와 시골에 1000개의 벌통을 두고 관찰했습니다. 

1) 농약의 농도가 높은 곳에서 더 잘 살았고 벌집이 더 오래 유지되고 꿀의 양도 많았음.

2) 전염병은 도시와 시골 무관하게 모두 발생했고 전염병에 걸린 도시의 꿀벌이 더 높은 생존율을 보였음. 

3) 생물 다양성 측면에서 꿀벌이 꿀을 채취한 식물 종 수는

시골 평균 150종, 도시 근교 100종, 도시 200종이었으며 이는 꿀벌의 생존 순서와도 일치했음.

즉 도심에서 꿀벌이 가장 잘 번성.

 

(미국은 광대한 토지에 단일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이 많고 도시의 조경이 잘 되어 있어

도시의 식물 다양성이 더 높은 결과가 나온 듯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적용되는 결과로 보기는 어려울 듯...)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아 윌슨 리치 박사는 

도시 정원, 건물 옥상 등 도심지에 다양한 식물을 심는 공간을 마련해 도시의 식물 다양성을 유지해야 한다.

고 주장했고

Best Bees Company를 설립했습니다.

미국 전역 도심의 빌딩과 주택에서 양봉하고 수분매개지 정원을 가꿔 꿀벌 서식지를 조성하며

꿀벌의 개체수를 늘리고 연구 및 교육하는 활동을 합니다.

페이스북 홍보와 꿈만으로 시작해

100만 달러 연구 자금을 모금해 낸 전국적인 회사가 되었다니

정말 대단합니다.

출처: https://bestbees.com/

 

2. 꿀벌 집단이 위대한 이유

꿀벌은 인류보다 위대한 민주주의를 구현하고 있었습니다.

우선 군림하거나 통치하는 존재없이 일벌끼리의 상호 소통으로 집단을 유지합니다.

꿀벌 개체가 많아지면 집단을 나누어 분봉해야 하는데

이주는 생존 확률이 훨씬 낮기에

새 여왕벌을 남기고 아무래도 관록이 있는 구 여왕벌 무리가  이주를 선택합니다.

정찰병이 이사갈 곳을 조사해 춤으로 보고 하는데

자신이 찾은 곳이 좋은 집터라는 확신과 열정이 클수록 강하고 오래 열정적으로 춤춥니다.

다른 일벌들도 춤이 가리키는 집터 현장을 직접 보고 지지하면 춤 대열에 합류합니다.

누구도 강제하지 않고 반대 의견을 누르는 일 없이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지지를 표합니다.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 다른 팀에게 의견을 표할 기회를 주고 

서로 다른 대안을 몇 시간, 길게는 며칠씩 춤으로 진행하면서 후보지를 하나로 좁혀갑니다.

 

거짓 정보와 흑색 선전으로 상대를 죽이려 하고

자신과 반대 의견에 있으면 미워하고

최고 위치에 있는 자는 군림, 지시, 통제하려 하는

인간들이 부끄럽습니다. 

 

너무나 민주적인 꿀벌의 집단 지능은

지구에서 1억년 이상을 버티게 해 준 밑바탕인 듯합니다.

 

3. 꿀벌 착취 논란

양봉은 꿀벌을 착취하는 것이다?

 

 

양봉은 자연생태계에 해가 된다?

 

 

제가 좋아하는 마인드풀TV 유튜버 정민님은 비건이기도 하지만

"꿀벌을 착취하여 만든 꿀을 먹지 않는다"고 하여 충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꿀이 흐르는 천연 벌집통을 뜯어 우걱우걱 먹는 것을 보면 

벌에게 미안하다는 생각은 한 적이 있지만

작디 작은 꿀벌을 인간이 착취한다는 그 표현은 참 충격적이었습니다. 

 

그러나 귀농한 청년 양봉업자의 이야기를 들어봐도

노아 윌슨 리치(Noah Wilson Rich) 박사의 사례를 봐도

꿀은 먹지 않더라도 위기에 빠진 꿀벌의 생존에

인간이 개입하여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함은 분명합니다.

양봉업은 그런 일이 이루어지게 하는 가장 직접적인 동력이 되겠죠.

공생하는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